당사는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키기 위해 이 사이트에서 쿠키를 사용합니다.
이 페이지의 링크를 클릭하여 쿠키를 설정하는 데 동의합니다.
더 많은 정보
동의
비 동의
  • 선그로우에 대해
  • 솔루션
    PV 시스템

    가정용 시스템

    C&I 시스템

    유틸리티 시스템

    ESS 시스템

    가정용 ESS 시스템

    C&I ESS 시스템

    유틸리티 ESS 시스템

    플로팅 PV 시스템

    플로팅 PV 시스템

    태양광 발전소

    가정용 태양광 사업부

    친환경 사업부

  • 제품
    PV 시스템

    Brochure/Catalog

    스트링 인버터

    센트럴 인버터

    MLPE

    ESS 시스템

    전력 변환 시스템(PCS)/하이브리드 인버터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

    수상 플로팅

    부력체

    인버터 & 부스터 플로팅 플랫폼

    모니터링과 액세서리

    액세서리

    모니터링

  • 서비스 및 지원
    온라인 서비스
    문의
    연락처 양식
검색
나는네가그것을찾고싶어할것이라고추측했다.
온라인 전시회
온라인 체험관
검색
나는네가그것을찾고싶어할것이라고추측했다.
국가
모든 뉴스
>
2025-09-03
이전 항목
다음 항목

 선그로우, 차세대 에너지 전환 이끄는 통합 솔루션 선보여  

선그로우, 차세대 에너지 전환 이끄는 통합 솔루션 선보여

선그로우 김종남 팀장이 부스에서 발표하고 있다


8월 27일부터 29일까지 벡스코에서 열린 세계기후산업박람회(World Climate Industry EXPO 2025)에 참가한 선그로우(SUNGROW)가 다각적인 포트폴리오를 선보이며 미래 에너지 전환 전략을 구체적으로 제시했다.


수냉식 ESS, 안정성과 효율성 동시에 만족시켜

선그로우가 이번 전시회에서 주력으로 소개한 제품은 ‘파워타이탄 2.0(ST5015UX-4H/6H)’이다. 파워타이탄 2.0은 PCS(전력변환장치)와 배터리를 일체화한 ESS로, 기존 공냉식 대비 효율성을 강화한 지능형 수냉식 냉각 기술을 탑재해 전체 운전 과정에서 보조 전력 소모를 줄이고, 장시간 안정적 운영을 가능하게 한다.


안전성도 파워타이탄 2.0의 강점이다. 아크 차단, 과전류 보호, 화재 확산 방지(FSS) 설계를 적용했으며, 국제 안전 인증인 UL9540A를 충족한다. 특히 한국 유틸리티 ESS 시장에서 요구되는 10MWh 이상 대규모 프로젝트를 직접 겨냥한 만큼, 국내 전력망 안정화와 신재생 확대에 핵심 장치로 자리매김할 수 있다는 평가다.


김종남 팀장은 “파워타이탄 2.0은 단순 저장 장치가 아니라, 한국 에너지 전환 시장의 안정성과 신뢰성을 높이는 기반 기술”이라고 설명했다.


대규모 발전소 운영, 데이터 기반으로 효율 높여

선그로우, 차세대 에너지 전환 이끄는 통합 솔루션 선보여
(좌측부) 에코알앤에스 류상훈 대표와 선그로우파워코리아 김호섭 지사장이 전시기간 중 MOU 협약을 맺었다.


선그로우는 대형 발전소 시장을 위한 통합 운영·제어 솔루션도 이번 전시회가 열리는 동안 집중 조명했다.


PPC100은 발전소 단위에서 전력 생산을 실시간으로 제어할 수 있는 통합 컨트롤러다. 발전량 데이터를 기반으로 IV 곡선 온라인 분석과 분산율 진단을 지원하며, 이를 통해 발전 효율을 최적화하고 계통 안정성을 높인다.


PVS-24MH 접속함은 1500Vdc 태양광 시스템을 대상으로 하며, 퓨즈, 결함 경보, 전류·전압 모니터링 등 안전 기능을 집약했다. IP67 방수·방진 등급과 낙뢰 보호 기능을 탑재해 옥외 환경에도 적합하다.


1+X 인버터 시스템은 1.1~4.4MW 모듈형 구조로 설계돼 프로젝트 현장의 규모와 특성에 맞게 확장할 수 있다. 수상태양광을 포함한 다양한 지형에서 설계 유연성을 보장하며, PSS/E, PSCAD 모델링을 제공해 발전소 엔지니어링에 최적화된 지원이 가능하다.


C&I 시장 공략, 안전성과 편의성 강화

상업·산업용(C&I) 시장을 겨냥한 제품인 SG150CX 인버터는 부스에 별도의 자리를 마련할 만큼 핵심 모델로 소개됐다.


이 인버터는 최대 165kW급 출력을 제공하는데, 이는 한국 1100Vdc C&I 시장에서 가장 큰 용량에 해당한다. Global MPPT 스캔 기능을 통해 발전 효율을 2% 이상 향상시킬 수 있으며, AFCI 3.0 기반 아크 탐지(최대 450m)와 특허 받은 압력 방출 구조로 안전성을 높였다. 유지관리 단계에서는 공기 덕트 자가 청소 기능으로 장기간 운영 효율을 유지할 수 있다 .


함께 전시된 SP1400D 옵티마이저는 모듈 단위에서 성능을 모니터링하고 IV 진단을 가능하게 해 유지관리 효율을 높였으며, SR20D-M RSD(Rapid Shutdown Device)는 화재 등 긴급 상황 발생 시 20초 이내 시스템 셧다운을 실행할 수 있도록 설계돼 안전 관리 체계를 강화한다.


산학협력, 차세대 에너지 연구와 접목

선그로우는 단순히 제품 공급에 그치지 않고, 국내 대학과 협력하는 산학 연구 프로젝트도 함께 공개했다.


경희대학교와의 RE:GROW 프로젝트는 ESS 배터리의 ‘열폭주’ 위험에 대응하기 위한 맞춤형 공냉 시스템 설계를 주요 과제로 삼고 있다. 이번 전시에서는 중간 연구 결과물이 소개돼 실제 적용 가능성을 점검하는 기회가 됐다 .


성균관대학교와 진행 중인 ESSpresso 프로젝트에서는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를 직접 제작해 전시했으며, 기존 실리콘 셀 대비 효율성과 제조 유연성 측면에서 차별화된 잠재성을 설명했다 .


김종남 팀장은 “대학과의 공동 연구는 장기적으로 상용화 기술로 이어질 수 있는 중요한 자산”이라며, “기업과 학계가 함께 협력해 한국과 아시아 시장에서 차세대 솔루션을 마련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수상태양광, 설치 효율과 안정성 동시 확보

선그로우, 차세대 에너지 전환 이끄는 통합 솔루션 선보여
선그로우 김종남 팀장이 SG150CX를 설명하고 있다


선그로우는 부스 내에 수상태양광(Floating PV) 솔루션을 전시하는 별도의 자리를 마련하기도 했다.


이 시스템은 지지대 방식 최적화로 체결 노드 수를 줄여 설치 효율을 약 10% 높였으며, 이중 배열 방식을 통해 일반적인 시스템 대비 최대 12% 용량 확대가 가능하다. 또한, 남북 방향 3점식 앵커링을 적용해 시스템 하중 용량을 20% 높였고, 동일 평면 배치를 통해 모듈 간 음영을 최소화해 발전량 일관성을 유지했다.


운영 및 유지보수 편의성도 고려됐다. 보행로 설계에 사선 브래킷 연결 방식을 적용해 부력 분포를 균일하게 유지하고, 작업자가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했다. 이 기술은 특히 한국과 동남아시아 등 수상 설치 수요가 증가하는 시장에서 확장 가능성이 크다.


선그로우는 이번 전시에서 ESS, 발전소 제어 플랫폼, C&I 인버터, BIPV용 마이크로 인버터, 수상태양광 등 에너지 전환 전 과정을 아우르는 포트폴리오를 공개했다. 이를 통해 단일 제품 경쟁을 넘어 통합 솔루션 제공자로서의 위상을 강화했다.


김 팀장은 “한국 시장은 안전성에 대한 요구 수준이 특히 높다”며 “선그로우는 현지 규제와 고객 요구에 맞춘 제품을 공급하는 동시에, 아시아 전역에서 파트너십을 확대해 지속 가능한 에너지 생태계 조성에 기여하겠다”고 밝혔다.


출처 : 산업일보


공유
18MW PV Plant in Dubai
Developer: Recurrent Energy
Owner: empra
EPC:Signal Energy
Capacity:205MWac
Model:SG2500U
Location:Fresno, CA
Commissioned in Q4 2017
Developer: Recurrent Energy
Owner: empra
EPC:Signal Energy
Capacity:205MWac
Model:SG2500U
Location:Fresno, CA
Commissioned in Q4 2017